분류 전체보기23 함수(function)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에서의 함수란? 입력(input)을 받아 출력(output)을 내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정의한 것 수학에서의 함수는 위와 같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함수와 입력 값이 존재 한다면, 위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즉 함수는 마치 재료를 투입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기계와 같은 일을 한다. 함수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인 2와 5는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의 x, y 변수에 전달된다. 그리고 함수의 실행 결과인 출력은 다시 함수 외부로 반환된다.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의 관점에서 재해석 하면, 일련의 과정을 문(statement)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definition) 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 함수 정의(function defi.. 2023. 5. 11. 객체(Object) 객체란?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 값(primitive value)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 ...) 은 모두 객체(object)이다. 원시 타입은 단 하나의 값(value)만 표현 할 수 있다. 그러나 객체는 다양한 타입의 원시값 혹은 다른 객체 타입이 하나의 단위로써 구성(composite)된 복합적인 자료구조(data structure)라고 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property)로 구성된 집합(set)이며, 자바의 맵(map)처럼 키(key)와 값(value), 0개 이상의 메서드(method)로 구성된다. 프로퍼티를 나열할 때는 쉼표(,)로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마지막 프로퍼티 뒤에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name: 'jo.. 2023. 5. 11. 연산자(operator) 동등/일치 비교 연산자 자바나 C와 같이 변수의 타입을 변수 선언 때 정의하는 정적 타입 언어(static type language)와 달리 파이썬이나 자바스크립트는 변수의 할당에 의해 타입이 결정(타입추론, type inference)되는 동적 타입 언어(dynamic type language)이다. 따라서 다른 정적 타입 언어와 다르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새로운 비교 연산자를 만날 수 있다. 동등 비교 연산자(==) var x = 10; var y = 10; if(x == y){ console.log(`equal`); } y = `10`; if(x == y){ console.log(`equal`); } 위 코드를 실행하면 'equal'을 두 번 출력한다. 이는 동등 비교 연산자는 암묵적 .. 2023. 5. 11.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화 이론(Normalization Theory)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의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프로세스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지만, 사실 정규화 이론은 관계형 모델의 일부라고 볼 순 없다. 정규화가 되지 않은 릴레이션이라도 정규화가 된 릴레이션처럼 똑같이 SQL을 이용해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규화되어 있지 않은 릴레이션이 취급하기 쉽다는 의미는 아니다. 모순(Contradiction) 데이터의 논리적인 불일치가 일어난 상태 변칙(Anomalies) 모순(Contradiction)이 발생한 상태 변칙이 생기는 경우 book 이란 릴레이션은 책의 이름과 책의 저자, 책의 가격, 출판사 등의 정보가 모인 릴레이.. 2023. 5. 11. 이전 1 2 3 4 5 6 다음